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webpack 설정
- 스택틱
- springboot
- oneOnOneRelationship
- 자바
- Spring
- js slider
- vscode 자동완성
- 스프링
- 엔티티 기본 리스너
- react export
- ERD #spring #spring-boot
- 영카드만사용하기
- vscode snippets
- entity jpa Listener
- 스프링부트
- 초보홈페이지도전기
- 프런트앤드
- 초보홈페이지
- 엔티티리슨너
- jpaRelationship
- java
- 1:1연관관계
- webpack
- java Throwable
- spring #entity #자바스프링 #스프링기초 #엔티티
- 자바기본
- react 기본문법
- 이에스린트
- react export default
- Today
- Total
목록spring/Entity (4)
디자인너 코딩하기

H2DB project에 설치 IntellJ new project 생성시 의존성 주입 build.gradle의 Dependencies dependencies {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data-jpa'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' compileOnly 'org.projectlombok:lombok' runtimeOnly 'com.h2database:h2' annotationProcessor 'org.projectlombok:lombok' test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..

방법 2. Spring Jpa에서 제공하는 기본 Entity Listener ① 메인 클래스에 @EnableJpaAuditing 붙여준다. @SpringBootApplication @EnableJpaAuditing public class BookmanagerApplicatio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pringApplication.run(BookmanagerApplication.class, args); } } ② 해당 Entity에 @EntityListeners(value= AuditingEntityListener.class) 붙여준다. ③ 해당 필드에 맞는 어노테이션을 붙여준다. (@CreatedDate, @LastModifiedDate ...) ..

Listener 특정 이벤트를 관찰하면서, 관찰했던 이벤트가 발생하면 맞는 이벤트 실행 방법 1. Entity 내에서 어노테이션으로 자체적으로 Listener 구현 어노테이션 관찰이벤트 비고 @PrePersist insert가 실행 전에 create(많이 사용됨)-감시목적 @PreUpdate merge가 실행 전에 update(많이 사용됨)-감시목적 @PreRemove delete가 호출 되기 전 delete @PostPersist insert가 실행 후 create @PostUpdate merge가 호출 후 update @PostRemove delete가 호출 후 delete @PostLoad select가 호출 된 직후 read - 사용방법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; ..

Entity는 도메인 객체를 말한다. 스프링에서 Entity 객체로 만들어 주는 방법은 @Entity 넣어주면 된다. 그럼 스프링이 Entity로 자동 관리 해준다. 주의 할 사항은 @Entity를 넣어주면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해주는 PK(Primary Key)가 반드시 만들어야 줘야 하고 그 방법은 PK해당 필드에 @Id, @GeneratedValue를 넣어주면 된다. @Entity public class User { @Id @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; private String name; private String email; } @GeneratedValue strategy() 옵셥 디폴드로 AUTO로 되어 있다. 생략가능 IDENTITY my-sql 디비에서 사용하는..